South Korea's thirst for U.S. crude to keep growing in 2020
2020년 미국산 원유 지속에 대한 한국의 갈증
FEBRUARY 24, 2020
SEOUL (Reuters) - South Korea is on track to overtake Canada as the top buyer of U.S. crude oil in 2020 as a mix of steep price discounts to alternative supplies, attractive refining economics and rebates on shipping charges prove too good to resist for big refiners.
대체 물자에 대한 급격한 가격 할인, 매력적인 정제 경제, 운송료에 대한 리베이트 (큰 정유사들에게 저항하기엔 너무 좋은 것으로 판명) 등이 혼합되어, 한국은 2020년 캐나다를 제치고 미국 원유의 1위 구매국으로 부상할 궤도에 올랐다.
steep [ stiːp ] 1.가파른. 비탈진 2.급격한 3.너무 비싼, 터무니없는
FILE PHOTO: Pump jacks operate at sunset in Midland, Texas, U.S. February 11, 2019. REUTERS/Nick Oxford
South Korean purchases more than doubled in the first 11 months of 2019 from a year earlier to 142.3 million barrels, Energy Information Agency (EIA) data showed. That was by far the fastest growth rate among top destinations for U.S. crude, and placed South Korea less than 10 million barrels behind top market Canada.
에너지정보청(EIA) 자료에 따르면 2019년 11월까지 한국의 구매량은 1년 전보다 2배 이상 증가한 1억4,230만 배럴로 나타났다. 이는 미국 원유 수입 상위국 중 단연 가장 빠른 증가율이며, 한국을 Top시장인 캐나다보다 1000만 배럴 적은 자리에 위치하게 했다.
With the United States set to become a net exporter of crude for the first time in 2020, Asia is expected to be a focus for more shipments, especially as European refiners have limited capacity for more shale.
미국이 2020년 처음으로 원유 순수출국으로 도약할 예정인 가운데 특히 유럽 정유사들이 셰일 생산능력을 제한하고 있어 아시아는 더 많은 수출에 초점이 맞춰질 전망이다.
U.S. crude oil exports to top destinations here
미국 원유 수출의 Top 지역은 여기
Historically attractive pricing has been a key driver behind U.S. export momentum.
South Korea, the world’s fifth-biggest oil importer, bought more than 375,000 barrels per day (bpd) of U.S. oil in 2019, taking its share of Korean imports to nearly 13%. Buyers paid on average $1.70 a barrel less than for crude from top supplier, Saudi Arabia, according to Reuters calculations based on state-run Korea National Oil Corp (KNOC) data.
역사적으로 매력적인 가격은 미국 수출 모멘텀을 뒷받침하는 핵심 동력이 되어 왔다.
세계 5위 석유 수입국인 한국은 2019년 하루 37만5000배럴(bpd) 이상의 미국산 원유를 사들여서 한국의 수입 비중에서 13%에 육박했다. 국영 한국석유공사(KNOC) 자료를 토대로 한 로이터통신 계산에 따르면 구매자들은 최고 공급업체인 사우디아라비아산 원유보다 배럴당 평균 1.70달러를 적게 지불했다.
This compares with a 97 cents a barrel premium in 2018.
“It is economically more attractive, and trade companies, midstream (firms) and producers have been aggressive seeking out buyers for American crude in Asia,” said Stephen Wolfe, a Houston-based oil analyst at Energy Aspects.
“Light sweet (crude) is attractive in Korea as a substitute for Iranian South Pars, especially in petrochemically-integrated plants, and especially after the implementation of IMO 2020 (ship fuel rules).”
이는 2018년 배럴당 97센트의 프리미엄과 비교된다.
"경제적으로 더 매력적이며 무역회사, 미드스트림(firms) 및 생산업체들이 아시아에서 미국산 원유를 사려는 구매자들을 적극적으로 찾고 있다"고 휴스턴에 본사를 둔 Energy Aspects의 스티븐 울프 석유 애널리스트는 말했다.
"이란 사우스파스, 특히 석유화학 통합 플랜트, 그리고 특히 IMO 2020(선박연료 규칙) 시행 이후의 대체재로서 한국에서는 라이트 스위트(크루드)가 매력적이다."
Oil consumption by region since 1965 here
1965년 이후 지역별 석유소비량
QUALITY FUEL
U.S. crude oil is normally more expensive for Asian buyers than Middle East grades due to longer journey times and the fact that it yields more quality fuels at a lower refining cost.
미국 원유가 아시아 바이어들에서 중동 등급보다 일반적으로 비싼 것은, 긴 여행 시간과 낮은 정제 비용에 좀더 질 좋은 연료를 더 많이 생산하는 사실 때문이다.
Light sweet crude contains more naphtha, used in petrochemicals, and also has a lower sulphur content, making it suitable for very low sulphur fuel oil, which has been mandated for shipping since the start of 2020.
“The U.S. WTI crude discount against Dubai crude was steep last year,” said Cho Sang-bum, an official at the Korea Petroleum Association that represents refiners.
“As Middle East crude OSPs (official selling prices) are high because of OPEC supply cuts, we expect U.S. crude to keep coming.”
경단유(Light sweet crude)는 석유화학에 쓰이는 나프타를 더 많이 함유하고 있고 황 함량도 낮아 2020년 초부터 선박 운송이 의무화된 매우 낮은 황 연료유에 적합하다. "지난해 두바이유에 대한 미국 WTI 원유 할인이 가파르게 이뤄졌다"고 한국 정유사를 대표하는 한국석유협회 조상범 사무관은 말했다. 이어 "OPEC 공급감소 때문에 중동산 원유 OSP(공식판매가격)가 높은 만큼 미국 원유가 계속 올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sulphur [ˈsʌlfə(r)] 황, 유황(비금속 원소)
mandated [ˈmændeɪtɪd] 1. 위임 통치를 받고 있는 2. 법에 규정된 3. 권한을 가진
Cost of importing U.S. & MidEast crudes here
미국&MidEast의 원유 수입 단가는 여기
Interactive graphic: Cost of importing U.S. & MidEast crudes
South Korean importers have also benefited from government rebates on freight charges, worth about $2.11 a barrel, for diversifying supplies beyond the Middle East. And U.S. oil imports attract a zero tariff under a free trade agreement with Washington, Cho said. Middle East crudes carry a 3% tariff.
한국의 수입자들은 중동 지역을 넘어 공급을 다변화해 배럴당 2.11달러 상당의 화물요금을 정부 리베이트로 이득을 챙겼다. 그리고 미국원유 수입은 워싱턴과의 자유무역협정에 따라 제로 관세를 끌어들이고 있다고 조 장관은 말했다. 중동산 크루즈는 3%의 관세를 부과한다.
freight [freɪt] 1. 화물; 화물 운송 2. 화물을 보내다 3. (특정한 분위기나 어조를 가득) 담다
diversify [daɪˈvɜːsɪfaɪ] 1. 다각화하다 2. 다양해지다; 다양하게 만들다
tariff [ˈtærɪf] 1. 관세 2. (호텔·식당 등의) 요금표 3. (범법자에 대한) 양형 체제
MORE TO COME
“We expect (U.S. crude) imports to expand again this year,” said Suh Suk-won, chief executive of SK Trading International, a unit of SK Innovation (096770.KS), which owns top refiner SK Energy, pointing to falling freight rates and increased marine fuel production.
"올해 다시 (미국산 원유) 수입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SK이노베이션(096770) 계열사인 sk트레이딩인터내셔널 서석원 대표이사는 말했다. Top 정유사인 SK에너지를 소유한 그는 화물 운임 하락과 해양연료 생산량 증가를 지적하고 있다.
In the first quarter, U.S. crude shipments to South Korea are estimated to be 38.57 million barrels, up nearly 20% from a year earlier, Refinitiv data showed.
West Texas Intermediate (WTI), WTI Midland and Eagle Ford crudes have been among the most popular U.S. grades in South Korea, along with medium sour Mars crude, KNOC data showed.
1분기 미국의 한국 원유 수출량은 3857만 배럴로 추정돼 1년 전보다 20%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리피니티브 자료에 나타났다.
미국 서부 텍사스산 중질유(WTI), WTI 미드랜드, 이글 포드 크루드가 중형 사워마스 원유를 비롯해 한국에서 가장 인기 있는 미국 등급으로 꼽혀온 것으로 KNOC 자료에 나타났다.
Types of U.S. crude grades imported by S.Korea here
한국이 수입한 미국산 원유 등급의 종류
Interactive graphic: Types of U.S. crude grades imported by South Korea
“These barrels are going to continue to move and it’s going to be OPEC’s problem. They hate it because shale’s breakeven price is below the general breakeven price for OPEC,” said a U.S. crude exporter, who declined to be named.
"이 배럴들은 계속 움직일 것이고 OPEC의 문제가 될 겁니다. 그들은 셰일산 조제 가격이 OPEC의 일반 조제 가격보다 낮기 때문에 그것을 싫어한다"고 익명을 요구한 미국의 한 원유 수출업자가 말했다.
breakeven 본전치기하다
decline [ dɪˈklaɪn ] 1.(수가치품질 등의 지속적인) 감소 2.줄어들다, 감소하다 3.(정중히) 거절하다, 사양하다
U.S. crude vs. MidEast crude here
Interactive graphic: U.S. crude vs. MidEast crude
(자료출처) 로이터
'일반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유 이야기] 베네수엘라의 원유 수출 감소와 미국 제재 (2020년1월 로이터 보도) (2) | 2020.04.15 |
---|---|
[원유 이야기] 러시아의 파이프라인 설치를 통한 아시아 태평양 지역 원유 수출 증대 (2019년 11월 로이터 보도자료) (1) | 2020.04.15 |
[원유 이야기] 사우디의 원유 수출량 및 수출 국가 (2019년7월 EIA 자료) (0) | 2020.04.15 |
[원유 이야기] 원유 유가 전쟁 소식 모음 (트럼프, 사우디, 러시아, Opec+) (0) | 2020.04.15 |
디스커버리자산운용 펀드 디폴트 (디스커버리US핀테크글로벌채권펀드, 디스커버리US부동산선순위채권펀드) (0) | 2020.04.14 |
댓글